우즈베키스탄의 국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키스탄의 국장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공식적인 상징이다. 우즈베키스탄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었으며, 1992년 7월 2일 법률 제616-XII호에 따라 현재의 국장이 제정되었다. 국장 중앙에는 행복과 자유를 상징하는 후모 새가 묘사되어 있으며, 팔각형, 초승달과 별, 태양, 강, 밀 이삭, 목화 상자 등의 상징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우즈베키스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초승달과 별 문장 - 서사하라의 국장
서사하라의 국장은 서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상징하며, 교차된 소총과 붉은 초승달 및 별, 폴리사리오의 모토를 담고 있어 서사하라의 독립 투쟁과 염원을 나타내고 정체성을 상징한다. - 초승달과 별 문장 - 알제리의 국장
알제리의 국장은 알제리 역사와 문화를 담은 상징물로, 파티마의 손, 떠오르는 태양, 아틀라스 산맥, 건물, 식물, 초승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아랍어로 알제리의 공식 명칭이 새겨져 있다. - 목화 문장 -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의 국장
- 목화 문장 - 키르기스스탄의 국장
키르기스스탄의 국장은 키르기스 국민의 정신, 자연, 문화, 국가 통치를 상징하는 둥근 문장으로, 흰 매 '악 슘카르', 이시쿨 호수, 톈산 산맥, 떠오르는 해가 묘사되어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국장 | |
---|---|
국장 정보 | |
![]() | |
국가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
채택일 | 1992년 7월 2일 |
구성 요소 | |
지지자 | 후모 |
모토 | (우즈베키스탄) |
기타 요소 | 루브 엘 히즈브 |
상징 | 목화와 밀 |
2. 역사
10월 혁명 이전과 그 이후 이 지역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기 전까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어진 부하라 토후국과 히바 칸국 같은 지역 칸국과 토후국은 서구적 의미의 국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들 지역 국가들은 자치와 통치의 상징을 나타내는 보다 전통적인 방식을 사용했다.
2. 1. 소비에트 연방 이전
10월 혁명 이전과 그 이후 이 지역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기 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어진 부하라 토후국과 히바 칸국 같은 지역 칸국과 토후국은 서구적 의미의 국장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지역 국가들은 자치와 통치의 상징을 나타내는 보다 전통적인 방식을 사용했다.2. 2.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1920-1925)
1920년 9월 1일, 젊은 부하라인과 부하라 공산주의자들은 RSFSR의 지원을 받아 부하라 에미르 무함마드 알림 칸과 에미리트 정부에 대항하여 차르조우시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9월 2일, 볼셰비키와 그 동맹국들은 격렬한 공중 폭격으로 도시의 많은 부분을 파괴한 후 부하라시를 점령했다. 부하라 에미르와 그의 측근들은 먼저 동부 부하라로 도망갔고, 그 후 아프가니스탄으로 도망갔다.[1]
1920년 9월 14일은 공화국 형태의 정부가 채택되고 모든 관련 정부 기관이 설립된 날이다. 10월 8일, 전 부하라 쿠룰타이에서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의 수립이 발표되었으며, 이듬해 9월 23일, 동일한 의회 기구인 ''쿠룰타이''에서 헌법이 채택되었다.[1]
부하라 P.S.R. 헌법 제78조는 다음과 같았다.[1]
붉은색 배경에 황금 낫이 박힌 녹색 수수 단을 묘사한 것으로 구성된다. 문장의 상단에는 초승달 모양의 낫이 단 위에 놓여 있으며, 그 안에는 황금색 오각별이 있다. 수수 단 자체는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이라는 글자로 둘러싸여 있다.ru
2. 3.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5-1991)
1925년 부하라 시에서 열린 제1차 소비에트 우즈베크 의회는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에 관한'' 선언을 발표했다. 1925년 6월 22일, 소비에트 우즈베크 SSR 중앙 집행 위원회는 결의안 67호 ''우즈베크 SSR의 문장과 국기에 관한''을 채택하여 "임시로, 우즈베크 SSR 헌법이 제정될 때까지" 공화국의 문장을 제정했다.[1]최종 디자인은 자루가 아래로 교차된 ''우라크'' (낫)과 망치가 밀 이삭과 면 가지의 화환으로 둘러싸인 형태였다. 붉은 리본에는 우즈베크어의 아랍 문자와 러시아어로 ''Uz.S.S.R''이 새겨져 있었다. 문장의 상단에는 금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 별이 있었고, 주변에는 러시아어와 우즈베크어로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라는 공산주의 표어가 새겨져 있었다.[1]
1927년부터 1928년까지 소련의 모든 튀르크어를 위한 단일 문자로 의도된 야날리프로 알려진 라틴 문자화된 알파벳으로 우즈베크어의 표기 체계를 변경하는 개혁이 이루어졌다. 문장에도 현재의 개혁을 반영하기 위해 문구가 변경되었다. 1929년 타지키스탄이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별도의 공화국으로 분리되고,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분리되면서 몇 가지 작은 변경 사항이 있었다.
1939년 7월 11일, 소련 중앙 정부는 연방 내 여러 공화국의 알파벳을 키릴 문자로 변경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1940년 5월 8일, 우즈베크 문자는 라틴 문자에서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 1941년 1월 16일, 공화국의 문장도 라틴 문자에서 키릴 문자로 표기를 변경했다. 따라서 문장은 이전의 라틴 문자 표기 대신 «Ӯз.С.С.Р.»이라는 새로운 문구를 사용했다.
이후, 1978년 4월 19일 새 헌법에서 문장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 주어졌고, 디자인에 몇 가지 변경 사항이 발생했다.
이 문장은 소련의 해체까지 유지되었으며, 새로운 국기와 같은 다른 국가 상징과 함께 새로운 문장이 독립한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에 채택되었다.
2. 4.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1992년 7월 2일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최고 의회 제10차 회의에서 법률 제616-XII호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국장에 관하여"에 따라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국장이 승인되었다.[2]3. 상징
국장 중앙에는 날개를 펼친 후모가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우즈베크 신화에서 행복과 자유의 상징이다. 우즈베크 시인 알리셰르 나보이는 후모 새를 모든 생물 중 가장 친절한 존재로 묘사했다.[2]
국장 상단에는 팔각형이 있는데, 이는 공화국의 통일과 확인을 상징한다. 팔각별 안의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교의 신성한 상징이다.
태양의 이미지는 우즈베키스탄 국가의 길을 비추는 빛을 상징하며, 번성하는 계곡은 공화국의 독특하고 유리한 자연 및 기후 조건을 강조한다.
두 강,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이 계곡을 가로질러 흐르며, 우즈베키스탄 영토를 관통한다.
밀 이삭은 빵의 상징이며 공화국의 부와 번영을 나타내고, 열린 목화 상자는 과거 우즈베키스탄의 중요한 면화 산업을 특징짓는다. 밀과 목화 상자는 국기의 삼색 리본으로 묶여 있으며, 공화국에 거주하는 국민들의 통합을 상징한다.[2]
4. 역대 우즈베키스탄의 국장
참조
[1]
웹사이트
Гербы узбекистана
http://www.heraldicu[...]
[2]
웹사이트
Arms
http://parliament.go[...]
2020-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